# 편의점 RMR 시장, 코로나19 이후 급성장…왜?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외식비 부담이 커진 소비자들이 편의점에서 간편하고 저렴하게 맛있는 음식을 구입할 수 있는 레스토랑 간편식 (RMR)에 눈을 돌리고 있다. RMR은 유명 맛집의 인기 메뉴를 편의점에서 쉽게 즐길 수 있도록 한 대체식품으로, 편의점 업계의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잡고 있다. 이 글에서는 편의점 RMR 시장의 현황과 전망, 그리고 주요 상품들에 대해 알아보겠다.
## 편의점 RMR 시장의 현황과 전망
편의점 RMR 시장은 코로나19 이후 급속히 성장하고 있다. 시장조사 전문회사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2019년 1017억 원에 그쳤던 국내 밀키트 시장 규모는 지난해 1882억 원으로 85% 가까이 급성장한 데 이어 올해 2587억 원까지 증가할 것으로 추산된다. 밀키트 시장의 일부를 차지하는 편의점 RMR 시장도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세븐일레븐에 따르면 11월 기준 냉장밥 상품 가운데 RMR의 매출 비중은 50%에 달했다. GS25는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 RMR 상품 매출이 전년 동기대비 2.5배 증가했다고 밝혔다.
편의점 RMR 시장의 성장 동력은 다양하다. 첫째, 코로나19로 인해 외식을 자제하고 집에서 식사를 하는 소비자들이 늘었다. 이들은 간편하고 저렴하게 외식을 대체할 수 있는 RMR 상품을 선호한다. 둘째, 편의점 업계가 유명 맛집과 협업하여 다양하고 고품질의 RMR 상품을 출시하고 있다. 이들은 맛집의 레시피와 재료를 그대로 활용하여 편의점에서도 맛집의 분위기와 퀄리티를 경험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RMR 상품의 소비를 주도하는 MZ세대가 편의점을 자주 이용한다. MZ세대는 신선하고 다양한 음식을 즐기는 것을 좋아하며, 편의점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는 RMR 상품에 호감을 보인다.
위와 같은 요인들로 편의점 RMR 시장은 앞으로도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연말을 맞아 홈파티를 즐기는 소비자들의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며, 이에 편의점 업계도 RMR 상품의 구성과 품질을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
## 편의점 RMR 시장의 주요 상품들
편의점 RMR 시장에서는 다양한 상품들이 소개되고 있다. 여기서는 주요 편의점 4사가 출시한 RMR 상품들을 살펴보겠다.
- 세븐일레븐: 세븐일레븐은 올해에만 30여 종의 RMR을 내놓으며 상품 구색을 확대 중이다. 이달 세븐일레븐은 63빌딩 고급 중식 레스토랑 '백리향'과 손을 잡고 RMR 신제품 2종을 선보였다. 이에 앞서 올해 초에는 제주 맛집 '숙성도', 을지로 맛집 '촙촙' 등의 RMR 제품을 출시했다. 숙성도 RMR은 출시 2개월 만에 누적 판매 200만 개를 넘어서기도 했다.
- GS25: GS25는 9월 용리단길 맛집 '효뜨'와 협업해 오픈런 시리즈 상품 소고기 쌀국수를 선보였다. 오픈런 시리즈는 GS25가 1월 론칭한 프리미엄 RMR 제품 라인이다. GS25는 오픈런 시리즈를 지속 출시, 프리미엄 RMR 상품 전략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 CU: CU는 매콤쭈꾸미 냉삼 덮밥, 부대찌개 라면 등 RMR 상품 총 7종을 출시했다. CU는 신사동의 유명 고깃집 '꿉당'에서 운영하는 냉동삼겹살 브랜드 '후추네'와 의정부 부대찌개 맛집 '오뎅식당'과 협력했다. CU는 2021년 3종의 RMR을 낸 데 이어 작년과 올해 각각 16종의 RMR을 내놨다. 올해 출시한 토끼정 RMR은 출시 한 달 만에 판매량 50만 개를 넘었고, 10월 리춘시장의 RMR도 출시 한 달 새 누적 판매량 55만 개를 돌파했다.
- 이마트24: 이마트24는 파우치형 RMR인 이지투쿡 알리오 올리오를 판매 중이다. 정통 이탈리안 레스토랑 ‘라쿠치아나’와 협업한 제품으로, 별도의 조리 과정 없이 전자레인지에 데우고 봉지 째 바로 먹을 수 있다.
## 마무리
편의점 RMR 시장은 코로나19 이후 급성장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성장할 가능성이 높다. 편의점 업계는 유명 맛집과 협업하여 다양하고 고품질의 RMR 상품을 출시하고 있으며, 소비자들은 간편하고 저렴하게 외식을 대체할 수 있는 RMR 상품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편의점 RMR 시장은 코로나19로 인해 변화된 소비자의 식생활 패턴과 편의점 업계의 끊임없는 혁신에 의해 성장하고 있는 시장이다.
'끄적끄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6+6 육아휴직제, 2024 육아휴직 급여 최대 3900만원 받기 (0) | 2023.12.20 |
---|---|
아베파 비자금 스캔들, 도쿄지검의 강력한 수사 태세 (0) | 2023.12.19 |
인천에서 태어나면 1억원 받는다? '1억+i dream' 정책의 모든 것 (0) | 2023.12.19 |
하림과 HMM 인수전, 승자의 저주를 피할 수 있을까? (0) | 2023.12.19 |
지역의사제란 무엇이고 왜 필요한가? 의료취약지역의 의사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도 소개 (0) | 2023.1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