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728x90
SMALL

🇰🇷 2025.06.30 국내 주식시장 데일리 리포트

 

1. KOSPI / KOSDAQ 지수 등락률 및 주요 상승·하락 원인

  • KOSPI: 2,792.14 (▲0.84%, +23.20pt)
    • 美 반도체주 강세,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상승 영향
    •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중심 외국인 매수세 유입
    • 원·달러 환율 안정세(1,310원대)로 투자심리 개선
  • KOSDAQ: 905.33 (▲0.56%, +5.07pt)
    • 게임·엔터, 바이오 일부 종목 중심 기술적 반등
    • 개인 투자자 저가매수세 유입
    • 다만 中 경기 둔화 우려가 상단 제한 요인

2. 수급 주체별 동향

      주체                                                            KOSPI (억 원)                                               KOSDAQ (억 원)
외국인 +3,152 +297
기관 -1,240 -130
개인 -1,872 -167
 
  • 외국인, 반도체 중심 순매수 지속
  • 기관, 경기 민감주 일부 차익 실현
  • 개인, 주 초반 매수 이후 차익 매도세 확대

3. 업종별 흐름 (상승/하락)

상승 업종 (KOSPI):

  • 반도체 (삼성전자 +2.4%, SK하이닉스 +3.1%)
  • 전기전자
  • 조선 (수주 모멘텀 지속)

하락 업종 (KOSPI):

  • 유통 (소비 위축 우려)
  • 음식료
  • 보험

상승 업종 (KOSDAQ):

  • 게임 (넥슨게임즈 +5.2%, 펄어비스 +3.8%)
  • 2차전지 소재 일부

하락 업종 (KOSDAQ):

  • 바이오 소형주
  • 콘텐츠 일부

4. 특징주 및 이슈 요약

  • 삼성전자 (+2.4%)
    • 美 반도체 투자 법안 기대감 + 글로벌 AI 투자 확대 수혜
  • 펄어비스 (+3.8%)
    • 신작 MMORPG 트레일러 공개, 기대감 반영
  • 현대미포조선 (+4.1%)
    • LNG 운반선 추가 수주 소식
  • CJ ENM (-2.9%)
    • 콘텐츠 제작비 부담 지속, 실적 우려
  • 제이엘케이 (-6.5%)
    • AI 진단 솔루션, 매출 부진 발표로 급락

5. 주요 뉴스 및 시장 이슈

  • 美 인플레이션 완화 시그널, 연내 금리 인하 기대 지속
  •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2.7% 급등 → 국내 반도체주 투자심리 개선
  • 中 제조업 PMI 둔화 발표 → 아시아 시장 전반적 부담
  • 국제유가 $79선 유지 → 원가 부담 완화 기대
  • 엔터주, 中 판호 발급 제한 이슈 완화 기조

6. 수혜주 vs 피해주 구분

     구분                        종목/업종                                                  근거
수혜주 삼성전자, SK하이닉스 美 반도체 투자 확대, AI 수요 폭증
수혜주 현대미포조선 조선 수주 호조, LNG 운반선 발주 지속
수혜주 펄어비스 신작 트레일러 공개, 게임 모멘텀
피해주 CJ ENM 제작비 증가, 실적 우려
피해주 제이엘케이 AI 솔루션 매출 부진
피해주 일부 유통·소비재 내수 경기 둔화 우려
 

7. 단기 수익화 가능 종목 추천 (2~3개)

① 삼성전자

  • 단기 목표가: 91,000원 (現 88,200원)
  • 이유:
    •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상승
    • AI, HBM 수요 급증으로 메모리 가격 반등세
    • 외국인 순매수 연속

② 현대미포조선

  • 단기 목표가: 85,000원 (現 79,800원)
  • 이유:
    • LNG 운반선 수주 지속 발표
    • 韓 조선사 수주 점유율 확대
    • PBR 1배 미만 저평가 구간

③ 펄어비스

  • 단기 목표가: 58,000원 (現 53,500원)
  • 이유:
    • 신작 MMORPG 공개로 기대감 부각
    • 기관·외국인 동반 매수
    • 단기 기술적 반등 신호 포착

마무리

전반적으로 외국인 매수세가 시장을 견인하고 있으며, 반도체·조선 등 수출 주도 업종이 강세를 보였다. 다만 소비·콘텐츠 업종은 실적 우려가 여전히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단기적으로 시장은 美 금리 기조 및 中 경기 지표에 민감할 전망이다.

728x90
728x90
LIST

+ Recent posts